Robotics35 PWM 완전 정복! 기계과나 전자과 2학년쯤 되면서부터 PWM이란 말을 많이 듣게 되실텐데요 그 개념에대해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참 쉬운건데도 무슨소린지 햇갈리죠 그래서 준비 했습니다 PWM완전정복!!! PWM이란 Pulse Width Modulation의 줄임말로 한국말로 바꾸면 펄.스.폭.변.조 입니다. 이 "펄스 폭 변조" 라는 말만 잘 떠올려 보시면 PWM의 모든것을 이해하실 수 있는데요 PWM의 모든것이기 때문이죠. 그럼 펄스폭 변조가 무엇이냐? 다음 그림으로 이해하시면 빠르실거라 생각합니다. 아래 사진은 제가 AVR을 이용해 PWM 파형을 생성한후 Oscilloscope로 측정한 화면인데요 위 두사진을 보시면 사각파의 펄스 폭이 서로 다른것을 알 수 있죠? 바로 이렇게 사각파의 펄스폭을 바꿔주는 것을 PWM이라.. 2012. 11. 1. [항공기 어떻게 나는가] 2. 외부 조명등 설계 기본 참고교재 : T-50 항공기 개발 경험으로 쓴 실전 항공전기(Aircraft Electrical System) 가끔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반짝 거리며 지나가는 비행기가 보이죠? 오늘은 이 외부 조명등이 어떠한 방식으로 설계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항공기 외부 조명 계통은 항공기 운용에 필요한 조명을 제공하는데요, 일반적으로 필라멘트 타입의 백열전구(incandescent lamp)를 광원으로 합니다. 하지만, 필라멘트 타입의 전구는 수명이 짧은거 아시죠? 필라멘트가 끊어질 위험도 크고,, 그래서 요즘은 전구계의 대세! 인 LED나 할로겐, HID(High Intensity Discharge)타입의 전구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외부 조명등은 항공기 운용에 필수적인 조명등과 개별 항공기 운용 .. 2012. 1. 28. [항공기 어떻게 나는가] 1. 젖힘날개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 항공관련 블로그를 개설하고 처음 올리는 글이네요 ^^이번 글은 현대 비행기에서 빼놓을 수 없는 발견! 젖힘날개에 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기본참고 교재 : 항공기 어떻게 나는가(Aircraft Flight - R.H. Barnard & D.R. Philpott) 젖힘날개의 최초 사용은 최초의 실용 제트 전투기인 Messerschmitt Me-262(Schwalbe)에서 보여지는데요 기술의 발전이 항상그렇듯 항공기술 역시 제 2차세계대전 발발전후에 크게 진보 했습니다.이때, 우리에게는 약간 생소하지만, A.Bets를 비롯한 독일의공학자들이 젖힘날개에 대해 제시하였는데요 이러한 젖힘날개는 현대의 전투기들에 까지 이어지고있습니다.그럼 젖힘날개가 무엇인지 알아볼까요?1. 젖힘날개의 사용이유.. 2012. 1. 20. 이전 1 2 3 4 5 다음